프로그래밍의 한계

많은 사람이 컴퓨터의 방식대로 프로그래밍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습니다. 어려운 코드를 배워야 하고, 컴퓨터의 방식대로 생각해야 합니다.
그렇기에 전 세계에서 극히 일부의 사람들만 프로그래밍이 가능합니다. 지금의 프로그래밍은 인간이 컴퓨터의 언어를 배워 컴퓨터의 방식대로 생각하는 것입니다.또 사람의 실수로 컴퓨터가 작동하지 않는 것을 수정하는 것입니다.
이는 사람이 코딩을 하는 방법으로써 최선이 아닙니다. 사람이 컴퓨터의 방식이 아닌, 컴퓨터가 사람의 방식대로 되어야 하지 않을까요?

노코드의 정의

노코드 프로그래밍은 컴퓨터 언어를 배우지 않고 (NoCode) 프로그래밍 시 코드 덩어리(기능)를 시각적 부품(Module)으로 만들어 인간의 인지 방식대로(Drag&Drop) 프로그래밍하는 방식입니다.

개발자에 의존하지 않고 이제는 멋있는 웹사이트 또는 창업자를 위한 서비스를 만들 수 있는 환경이 다양한 노코드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현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매우 정적이고 간단한 기능만을 구현했다면 현재는 노코드 툴을 활용해 AirBnB와 같은 서비스를 단기간에 만들고 애플의 아름다운 웹사이트도 코드 없이 구현이 가능합니다.

기술 민주화의 역사

새 기술을 통해 산업 효율성이 증대되면 이것이 확산되며 많은 이들이 사용합니다. 이를 통해 많은 결과물이 생겨나며, 이러한 과정을 기술의 민주화로 정의하겠습니다.기술의 민주화는 인류에게 유익한 생산물을 창출하는 힘을 증가시킵니다.

이러한 기술의 민주화는 때론 인류사를 바꾸기도 합니다. 다음의 예를 보며 기술의 민주화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출판업
출판업의 민주화

인쇄술이 등장하기 전에는 책을 대량 생산할 수 방법이 없었습니다. 책을 만드는 유일한 방법은 손으로 글씨를 하나 하나 쓰거나 배끼는 것이었습니다. 따라서 책은 매우 귀한 것이였으며 일부 계층만 소비할 수 있었습니다. 따라서 새로운 정보와 지식이 많은 사람들에게 확산되기는 어려웠으며, 글씨를 읽고 쓰는 것은 소수의 사람들만이 할 수 있는 것이었습니다.
1439년 독일의 쿠텐베르크가 발명한 인쇄기는 인쇄 매체의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하였습니다. 이후의 유럽사회는 지식과 정보의 보급이 이전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빠르고 광범위하게 확대되었으며 인쇄 매체는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방식으로 사람들에게 보급되기 시작했습니다. 덕분에 유럽사회는 이전과 크게 달라지게 되었습니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타자기와 워드 프로그램, 그리고 그것을 공유할 수 있는 인터넷 플랫폼의 출현으로 텍스트 정보를 공유하는 과정은 더욱 쉬워졌습니다. 인쇄기를 통하지 않고 텍스트 매체를 단 몇 번의 클릭만으로 전 세계에 출판할 수 있습니다.

100만명당 발행되는 책의 수
텍스트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기술의 발전이, 그 결과물의 생산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는 위으 그래프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증가와 감소를 비롯하면서 지난 200년간 아주 조금씩 증가하던 발행 수는 1960년대, 타자기의 보급을 기점으로 폭팔적으로 증대되기 시작합니다.

음악
음악 산업의 민주화

마찬가지로 음악 산업에서도 관련 기술은 우리가 만드는 음악의 양에 엄청난 영향을 미쳤습니다. 과거에는 음악 보급 수단인 레코드 제작엔 업계 연결, 스튜디오 확보, 상당한 자본, 긴 작업 시간이 필요했습니다.

지금은 다양한 홈 레코딩 기술과 믹싱 기술, 전자 악기, 작곡 프로그램 등을 통해 집에서도 모든 음악을 연주하고 녹음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렇게 녹음한 음악을 멜론, 애플뮤직, 스포티파이와 같은 퍼블리싱 플랫폼을 통해 전 세계에 보급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의 민주화를 통해 음악을 만들고 공유하는 것이 그 어느 때보다 쉬워졌습니다.

2016
영화산업의 민주화

영화 제작 영역에서도 동일한 과정이 나타납니다. 과거에는 영화제작이 엄청난 돈과 시간이 들었기 때문에 평범한 개인은 영화를 제작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했습니다. 영화 제작은 비용을 감당할 수 있는 규모의 회사, 스튜디오이거나 상당한 자본을 모은 사람들에게만 가능한 일이었습니다.
카메라가 사람들에게 더 많이 보급되어 촬영 접근성이 개선되고, 영상 편집 기술의 발전과 프로그램에 대한 교육 접근 장벽이 낮아지면서 현대에는 개인독립영화가 초기 자본 없이도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표현의 자유와 창의성이 꽃 피우고 있습니다.

2022
소프트웨어의 민주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만드는데에 있어서는 아직까지 위와 같은 생산 기술을 보지 못한것 같습니다. 아직까지 프로그래밍은 소수의 전유물이며 코드 학습이라는 일반인들에겐 높은 진입 장벽이 존재합니다.
노코드 운동은 소프트웨어 생산에의 관점에서, 기술은 진입 장벽이 아니라 창조의 수단이 되어야 한다는 믿음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사람들에게 기술의 민주화를 통해 기존 진입 장벽을 허물고, 다양한 표현과 창의의 결과물을 만들어낼 수 있게 합니다.  위 사례로 보건대 이 운동의 잠재력은 엄청나며, 이에 참여하는 우리에게는 세상을 바꿀 잠재력이 있습니다.